박명철 (1941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명철은 1941년 평안남도 평양 출신으로, 조선체육대학을 졸업했다. 역도 선수 출신으로, 역도산의 딸 김영숙과 결혼했으며, 딸은 역도 여자 대표팀 감독을 맡았다. 1976년부터 체육 관련 주요 직책을 역임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 체육상, 내각 체육지도위원장 등을 지냈다.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에 북한 대표단 단장으로 참가했고, 2009년 국방위원회 참사로 재기용되었다. 장성택의 측근으로 알려져 있으며, 장성택 숙청 이후에도 여러 직책을 유지했으나, 2021년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에서 소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주군 출신 - 장준하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정치인인 장준하는 일본군 학도병으로 징집 후 탈출하여 광복군에서 활동, 해방 후 김구의 비서를 지냈고, 《사상계》를 창간하여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나 의문사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한국 현대사의 중요한 부분으로 재평가되고 있다. - 의주군 출신 - 정비석
정비석은 일제강점기부터 대한민국 제1공화국 시대를 거치며 활동한 소설가로, 《자유부인》으로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었으며 친일 논란과 필화 사건을 겪었고, 4·19 혁명 이후 역사 소설을 주로 집필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1941년 출생 - 신영복
신영복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사회운동가, 대학교수, 저술가로서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수감 생활 중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집필하여 반향을 일으켰고, 출소 후 관계론을 중심으로 사상을 발전시키며 독특한 서체로 민중과 소통했으며,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 1941년 출생 - 도정일
도정일은 영문학자이자 사회운동가로, 경희대학교 교수, 도서관장,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문화개혁시민연대 공동대표 등을 역임했으나, 2016년 학력 위조 논란 이후 이를 인정했고, 저서로는 《시인은 숲으로 가지 못한다》 등이 있다.
박명철 (1941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박명철 |
원어 이름 | 박명철 (朴明哲) |
로마자 표기 | Bak Myeongcheol |
출생일 | 1941년 9월 15일 |
출생지 | 의주군, 평안북도 |
국적 | 북한 |
배우자 | 김영숙 |
친척 | 역도산(장인), 박명선(여동생, 전 내각 부총리) |
정치 경력 | |
정당 | 조선로동당 |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 2003년 9월 당선 4회 당선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 | 2017년 4월 11일 임명 2021년 9월 29일 퇴임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 김영남 (1998년 - 2019년) 최룡해 (2019년 - ) |
최고재판소 소장 | 2014년 4월 9일 임명 2016년 6월 29일 퇴임 |
최고인민회의 법제위원회 위원 | 2014년 4월 9일 임명 2016년 6월 29일 퇴임 |
국방위원회 참사 | 2009년 2월 임명 |
당 중앙위원회 위원 | 2010년 9월 임명 |
스포츠 경력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올림픽위원회 위원장 | 1994년 3월 - 2004년 3월 2010년 11월 - 2012년 10월 |
체육상 | 2010년 6월 - 2012년 10월 |
체육지도위원회 위원장 | 1999년 11월 - 2004년 3월 |
2. 생애 및 경력
역도 선수 출신으로 조선체육대학을 졸업했다. 1970년대 중반부터 오랫동안 북한의 체육 행정 분야에서 활동하며 국가체육위원회 위원장, 조선올림픽위원회 위원장, 체육상 등 고위직을 역임했다.
정치적으로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국방위원회 참사, 중앙재판소 소장,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 등을 지냈다.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는 1990년 제9기를 시작으로 2014년 제13기까지 활동했다.
주요 국가 행사에도 참여하여 김일성(1994년), 오진우(1995년), 조명록(2010년), 김정일(2011년) 사망 당시 국가장의위원회 위원을 맡았다. 장성택의 측근으로 알려져 그의 정치적 부침에 영향을 받기도 했다[9][11].
2. 1. 초기 생애
박명철은 1941년 9월 15일, 의주군에서 태어났다. 17세 혹은 18세였던 1959년, 그의 아버지 박정호가 김일성의 지시로 남한에 파견되었다가 체포되어 살해당했다. 그 결과, 김일성은 어린 박명철과 그의 형제자매들에게 자신이 "그들을 돌봐줄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다.젊은 시절 박명철은 레슬링 선수로 훈련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아내를 만났을 가능성이 있다. 그의 아내는 김영숙으로, 김정일의 부인인 동명이인과는 다른 인물이다. 그녀는 유명한 재일 한국인 레슬러 리키도잔의 딸로, 그의 네 번의 결혼 중 첫 번째 결혼에서 태어난 딸로 알려져 있다. 아내 덕분에 박명철은 일본의 유명 레슬러 출신 정치인이자 대북 관계 옹호자인 안토니오 이노키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2. 2. 체육 분야 경력
역도 선수 출신이며, 젊은 시절에는 레슬링 선수로도 훈련받았다. 적어도 1975년부터 북한의 다양한 고위직에서 스포츠 행정에 관여해 왔다.1976년 3월 국가체육위원회 부위원장을 시작으로, 1986년 4월에는 국가체육위원회 제1부위원장에 임명되었다. 1991년 5월에는 조선축구협회 부위원장이 되었다.
1992년 12월 국가체육위원장에 임명되었으며, 1993년 4월에는 조선올림픽위원회 위원장, 같은 해 10월에는 동아시아 경기협회 위원장에 각각 임명되었다. 1998년 9월에는 체육상을 맡았고, 1999년 11월에는 내각 체육지도위원회 위원장이 되었다.
2002년 부산에서 열린 2002년 아시안 게임에는 응원단을 포함하여 700명에 가까운 북한 대표단을 이끌고 단장으로 참가했다.[10]
2004년 3월, 조선올림픽위원회 위원장과 내각 체육지도위원장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2009년 2월 국방위원회 참사로 임명되며 다시 활동을 시작했고, 2010년 6월 이후 체육상을 다시 맡았다.[18] 2010년 11월에는 조선올림픽위원회 위원장도 다시 맡게 되었다. 그러나 2012년에 체육상에서는 다시 해임되었다.
2. 3. 정치 경력
역도 선수 출신으로, 적어도 1975년부터 북한의 다양한 고위직에서 스포츠 행정에 관여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1976년 3월 국가체육위원회 부위원장을 시작으로, 1986년 4월에는 같은 위원회의 제1부위원장에 임명되었다. 1991년 5월 조선축구협회 부위원장이 되었고, 1992년 12월에는 당 중앙위 후보위원으로 선출됨과 동시에 국가체육위원장에 임명되었다. 이듬해인 1993년 4월 조선올림픽위원회 위원장, 같은 해 10월 동아시아 경기협회 위원장을 차례로 맡았다.1998년 9월 체육상에 임명되었고, 1999년 11월에는 내각 체육지도위원회 위원장이 되었다. 2002년 부산에서 열린 2002년 아시안 게임에는 응원단을 포함한 약 700명의 북한 대표단을 이끌고 선수단 단장으로 참가했다[10].
장성택의 측근으로 알려졌으며[9], 2003년 말 장성택도 참석한 간부 자녀의 결혼식에 다녀오던 중 교통사고를 당했다. 이 사고 수사 과정에서 장성택과 그의 측근들이 조사를 받기도 했다[11]. 2004년 3월 조선올림픽위원회 위원장과 내각 체육지도위원장직에서 물러났다.
2009년 2월 국방위원회 참사로 복귀한 이후, 2010년 6월부터 체육상을 다시 맡았다[18]. 같은 해 9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고, 11월에는 조선올림픽위원회 위원장직도 다시 맡게 되었다. 이 시기 김정일로부터 격려를 받기도 했다[12]. 그러나 2012년 체육상에서 다시 해임되었다. 대한민국 통일부는 2012년 4월 이후 그의 활동이 줄었다고 분석했으며, 일각에서는 김정은 집권 이후 아버지 세대의 인물들이 정리되는 과정이라는 추측도 제기되었다.
장성택이 2013년 숙청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박명철은 2014년 최고인민회의 제13기 대의원으로 선출되며 정치적으로 건재함을 보였다[13]. 2014년 4월 9일 최고인민회의 제13기 1차 회의에서 중앙재판소 소장과 최고인민회의 법제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나[13], 2016년 6월 29일 최고인민회의 제13기 4차 회의에서 해당 직책들에서 해임되었다[14].
2017년 1월에는 6.15 공동선언 실천 북측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고[15], 같은 해 4월 11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16]. 하지만 2021년 9월 29일 열린 최고인민회의 제14기 5차 회의에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에서 소환(해임)되었다[17].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는 1990년 제9기를 시작으로 1998년 제10기, 2003년 제11기를 거쳐 2010년 6월 보궐선거를 통해 제12기 대의원으로 선출되었고, 2014년 제13기 대의원으로도 재선되었다[13].
또한, 김일성(1994년), 오진우(1995년), 조명록(2010년), 김정일(2011년) 사망 시 국가장의위원회 위원을 맡았다.
2. 4. 장성택과의 관계 및 기타
장성택의 측근으로 알려졌다[9].2003년 말, 장성택도 참석한, 장성택과 친분이 있는 간부 자녀의 결혼식에 참석하고 돌아오던 중 교통사고를 당했다[11]. 이 사고를 수사하는 과정에서 장성택의 측근 다수가 결혼식에 참석한 사실이 밝혀졌고, 당시 최고지도자였던 김정일은 장성택이 "권력욕에 휩싸여 분파 행동을 했다"고 판단하여 근신 처분을 내렸다. 또한 장성택의 측근 다수를 노동자로 지방에 추방했으며, 이들에 대한 처벌이 해제된 것은 2년 후였다[11].
이 사건의 여파로 박명철은 2004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직에서 해임되었고, 내각 체육지도위원장으로 새로 임명되었다. 이후 장성택이 복권되면서 박명철 역시 다시 중용되기 시작했다. 2009년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참사에 선출되었으며[11], 2010년에는 올림픽 위원장과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다시 선출되었다. 이 시기 김정일 총비서(국방위원장)로부터 격려를 받기도 했다[12]. 그러나 2012년에는 다시 체육상에서 해임되었다.
2013년에 그가 측근으로 모셨던 장성택이 숙청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박명철은 2014년 제13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에서 재선되어 건재했다[13]. 2014년 4월 9일 최고인민회의 제13기 제1차 회의에서 최고재판소 소장 및 최고인민회의 법제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나[14], 2016년 6월 29일 최고인민회의 제13기 제4차 회의에서 해임되었다[14].
이후 2017년 1월에는 6.15 공동선언 실천 북측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으며[15], 같은 해 4월 11일에는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16]. 하지만 2021년 9월 29일 열린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5차 회의에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에서 소환되었다[17].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박정호 | 1959년 김일성의 지시로 남파되었다가 체포되어 사망하였다.[1] 김일성은 이후 박명철과 그의 형제자매들을 돌봐주겠다고 약속했다고 전해진다.[1] |
장인 | 역도산 | 유명 재일 한국인 프로레슬러[1] |
부인 | 김영숙 | 역도산의 딸.[1] 김정일의 부인과는 동명이인이다.[1] |
차녀 | 박혜정 | [1] |
여동생 | 박명선 | [1] |
부인 김영숙을 통해 일본의 레슬러 출신 정치인이자 대북 관계 옹호자인 안토니오 이노키와도 관계를 맺고 있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cybernk.n[...]
2019-08-22
[2]
웹사이트
金正日亲信陆续消失 金正恩欲摆脱父亲阴影
http://cnnews.chosun[...]
2019-08-21
[3]
웹사이트
Pak Myong Chol {{!}} North Korea Leadership Watch
http://www.nkleaders[...]
2019-08-21
[4]
웹사이트
First Group of N.Korean Athletes Arrives in Busan for Asian Games
http://english.chosu[...]
2019-08-21
[5]
웹사이트
Politburo meeting and 1st session of the 13th SPA
http://www.nkeconwat[...]
2019-08-21
[6]
웹사이트
力道山の息子が破産した理由 力道山の短い生涯は闘いの連続だった
http://dearjudy19.co[...]
2019-08-21
[7]
웹사이트
なぜアントニオ猪木は北朝鮮との関係にこだわるのか
https://matome.naver[...]
2019-08-21
[8]
뉴스
한국대통령선거를 예상하는 북한 민간 교류를 통해 남북 관계 개선을 노린다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17-05-01
[9]
뉴스
북, 경제 요직에 黨실세 전면 배치
http://www.donga.com[...]
東亜日報
2010-06-08
[10]
뉴스
부산AG성화 부산의 품으로…北선수단 2진 152명 김해도착
http://www.donga.com[...]
東亜日報
2002-09-27
[11]
서적
李相哲(2011)pp.167-168
2011
[12]
뉴스
「力道山ファミリー」が張成沢の復権後に出世街道まっしぐら
https://dailynk.jp/a[...]
デイリーNK
2010-11-21
[13]
뉴스
북朝鮮이 대의원 당선자 687명 발표 약 55%가 교체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14-03-11
[14]
뉴스
북朝鮮, 국가 기관을 대폭 재편…최고인민회의
https://dailynk.jp/a[...]
デイリーNK
2016-06-30
[15]
뉴스
6.15북측위원장에 박명철 전 체육상 선출
http://www.tongilnew[...]
統一ニュース
2017-01-29
[16]
뉴스
상임위원장에 최룡해, 총리에 김재룡씨…북한에서 최고인민회의
https://dailynk.jp/a[...]
デイリーNK
2019-04-12
[17]
뉴스
김여정씨, 국무위원에 선출…북한에서 최고인민회의
https://dailynk.jp/a[...]
デイリーNK
2021-09-30
[18]
웹인용
통일부 북한자료센터 주요 인물 정보
http://unibook.uniko[...]
대한민국 통일부 북한자료센터
2012-0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